0️⃣ 프롤로그
- 이펙티브 코틀린을 읽던 중에 람다 캡쳐링이라는 현상을 알게되었다. 람다식 내부에서 식 외부에 존재하는 지역변수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이야기하며 소개되었다. 회사에서 동료들과 이야기 하면서도 다시 생각하게 되는 개념이라 정리해본다.
(Kotlin 카테고리지만 근본이되는 자바의 개념으로 정리)
1️⃣ 람다 캡쳐링
- 람다식은 기본적으로 (파라미터) -> 바디의 구조를 가지고있고, 바디에서는 파라미터로 넘겨진 변수를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. 이 때 람다 캡쳐링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데 파라미터로 넘겨받은 데이터가 아닌 람다식 외부에서 정의된 변수를 참조하는 데이터나 변수를 람다식 내부에 저장하고 사용하는 동작을 의미한다. 코틀린의 람다를 살펴보기 전에 자바의 람다 형식부터 살펴보았다.
void lambda() { int captureValue = 20; Runnable r = () -> System.out.println(captureValue); }
captureValue
라는 이름의 지역변수를 람다에 캡쳐하고 해당 람다식을r
이라는 변수에 할당하는 코드이다. 위 코드에서 지역변수captureValue
와 람다식 내부에서 사용되는 자유변수인captureValue
는 별개의 데이터라는 점이다.
2️⃣ 람다 캡쳐링의 제약조건
- 람다식 내부에서 클래스의 static 필드나 인스턴스 등을 참조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. 그치만 일반 지역변수를 람다식 내부에서 재할당하는 동작을 구현한다면 다음과 같은 제약사항에 걸리게 된다.
local variables referenced from a lambda expression must be final or effectively final
->람다식 내부에서는 값이 단 한 번만 할당되는(final) 지역변수만 캡쳐할 수 있다
void lambdaCapturing_localVarMustBeFinal() { int captureValue = 20; Runnable r = () -> System.out.println(captureValue); captureValue = 33; // 컴파일 에러 발생 }
위 처럼 람다에서 사용된 지역변수를 재할당 시도해도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킨다.
void lambdaCapturing_localVarMustBeFinal() { int captureValue = 20; Runnable r = () -> captureValue = 33; // 컴파일 에러 발생 }
또한 이렇게 람다 내부에서 외부 지역변수를 재할당해줘도 동일하게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.
3️⃣ 자유변수와 JVM 메모리 구조
자유변수(free variable)
란 이처럼 람다식 외부에서 정의된 지역변수를 람다식 내부에서 참조하는 변수를 의미한다. 그럼 자유변수를 사용하는것이 왜 문제가 될까..? JVM의 메모리 구조에 답이있다.
JVM의 구조를 보면 RunTime Data Area
가 JVM의 메모리 영역으로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들을 적재하는 영역이다.
- Method area (메소드 영역)
- 클래스 멤버 변수의 이름, 데이터 타입, 접근 제어자 정보같은 필드 정보와 메소드의 이름, 리턴 타입, 파라미터, 접근 제어자 정보같은 메소드 정보, Type정보(Interface인지 class인지), Constant Pool(상수 풀 : 문자 상수, 타입, 필드, 객체 참조가 저장됨), static 변수, final class 변수등이 생성되는 영역이다.
- Heap area (힙 영역)
new
키워드로 생성된 객체와 배열이 생성되는 영역이다. 메소드 영역에 로드된 클래스만 생성이 가능하고Garbage Collector
가 참조되지 않는 메모리를 확인하고 제거하는 영역이다.
- Stack area (스택 영역)
- 지역 변수, 파라미터, 리턴 값, 연산에 사용되는 임시 값등이 생성되는 영역이다.
int a = 10;
이라는 소스를 작성했다면 정수값이 할당될 수 있는 메모리공간을 a라고 잡아두고 그 메모리 영역에 값이 10이 들어간다. 즉, 스택에 메모리에 이름이 a라고 붙여주고 값이 10인 메모리 공간을 만든다. 클래스Person p = new Person();
이라는 소스를 작성했다면Person p
는 스택 영역에 생성되고 new로 생성된 Person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힙 영역에 생성된다.
- 지역 변수, 파라미터, 리턴 값, 연산에 사용되는 임시 값등이 생성되는 영역이다.
- PC Register (PC 레지스터)
- Thread(쓰레드)가 생성될 때마다 생성되는 영역으로 현재 쓰레드가 실행되는 부분의 주소와 명령을 저장하고 있는 영역이다. 이 영역을 이용해서 쓰레드를 돌아가면서 수행할 수 있게 한다.
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Heap영역과 Stack 영역이다. 스레드가 생성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메소드 영역과 힙 영역은 모든 쓰레드가 공유하게된다.
* 지역변수는 스택 영역에 올라가게되고, 어떠한 메서드의 실행이 종료되었을 때 해당 메서드에서 선언되고
사용되고있던 모든 지역변수의 할당은 해제된다. 하지만 힙 영역에 올라간 static 필드나 인스턴스 클래스는 남아있게 된다.
4️⃣ 느낀점!
정리하자면 람다식은 파라미터만이 아니라 람다식 외부의 선언된 변수를 활용할 수 있으며, 이러한 동작을 람다 캡처링이라고 부른다. 이때 컴파일러는 캡처하려는 지역 변수에 대해 불변성을 강제하는데, 이는 딱히 문제라고 보기 어렵다. 불변 데이터가 지니는 다양한 이점도 있겠지만, 외부 변수의 값을 변화시키는 일반적인 절차형/명령형 프로그래밍 패턴을 문법 차원에서 예방한다는 이점도 크다고 볼 수 있다. 다만, 스택 영역에 저장되지 않는 각종 인스턴스 필드와 static 변수의 경우 이러한 제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side effect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다.